※ 에러
jsp 에서의 에러 메시지 : 에러가 발생하면 그 에러가 어떠한 경로로 발생하게 되었는지
스택을 뒤집어서 그 경로를 추적하여 에러 메시지 표시
에러처리 : 원래의 에러 메시지 대신 사용자에게 익숙한 문구가 표시되도록
web.xml에서 에러를 코드별로 처리하도록 작성
404 - 사용자가 잘못된페이지 요청
500 - 서버에서 문제가있을 때 (코드오류)
web.xml에서
<error-page>태그안에 에러코드명을 쓴다
▽ server.xml
<error-page>
<error-code> 이런 에러가 나면 <error-code>
<location> 이 페이지를 보여줘<location>
<error-page>
<error-page>
<error-code>404</error-code> //404에러가 나면
<location>/herbmall/sandbox/errorTest/404code.jsp</location> // 원래는 이렇게 절대참조로 써야하는데
<location>/sandbox/errorTest/404code.jsp</location>
//web.xml 은 절대참조인데, CONTEXTPATH가 자동추가되기때문에 이렇게 쓴다
</error-page>
★ contextPath 가 자동으로 추가되는 경우 ★
1. web.xml (절대참조시 contextPath 가 자동으로 추가됨)
2. include 액션태그 & 지시자 ( 모든 include )
3. 모든 forward
<location>/herbmall/sandbox/errorTest/404code.jsp</location> // 원래는 이렇게 절대참조로 써야하는데
<location>/sandbox/errorTest/404code.jsp</location>
=> 따라서 contextPath 가 자동으로 추가된다
▷ 에러나면 사용자에게 보여줄페이지 500code.jsp
[1] 에러시 사용자에게 보여질 페이지에 setStatus를 먼저 셋팅한다
setStatus : 현재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응답되는 페이지임을 지정하는 코드,
이 코드가 생략되면 웹 브라우저는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화면을 표시함
<%response.setStatus(HttpServletResponse.SC_OK);%>
[2] 사용자에 보여질 문구 body 에 작성
<body>
<p>
서비스 사용에 불편을 끼쳐드려서 대단히 죄송합니다.<br>
빠른시간내에 문제를 처리하겠습니다.
</p>
</body>
= > 500 에러가 발생하면
server.xml 에서 500code.jsp 로 가락 지정했으니 해당 페이지로 가서
500.jsp 의 body 안에있는 값이 사용자에게 보여진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모델2 기반의 MVC 패턴 게시판의 흐름 (0) | 2022.05.22 |
---|---|
회원가입 (0) | 2022.05.19 |
[jsp] 모델2 기반의 MVC 패턴 (0) | 2022.05.18 |
[jsp] 쿠키 / 세션 (0) | 2022.05.16 |
[jsp] 내장객체, 액션태그,자바빈 (0) | 2022.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