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하던 컴퓨터를 변경했다.
맨 처음에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SSH 접속 설정을 하는데 정 ~ 말 힘들었던 기억이있어서
새로운 컴퓨터의 접속 설정을 미루고 있었다. (인스턴스 접근할 일이 생기면 이전 컴퓨터로 접속하면서..)
당연하게도 한계가 왔다. USB로 프로젝트를 옮겨서 배포하는데에 현타가 왔고 현재컴퓨터에 EC2 SSH 접속 설정을 하기로 (((큰))) 맘을 먹었다.
▶ .ssh 경로로 이동
cd ~/.ssh
▶ 키 생성
ssh-keygen
명령어를 실행하면 ~/.ssh/ 경로에 아래와 같은 파일들이 생성된 걸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Pem 파일 이동
가장 헤멨던 부분인데, Pem 파일을 재발급 받아야하는줄 알았다.
잃어버린 사람들은 재발급 받도록.. 근데 인스턴스 중지시키고 쿵짝쿵짝 해야 되더라 .. 2시간 넘게 삽질했지만 결론은 나한텐 불필요한 작업이었다. 이전 컴퓨터에 pem 파일이 존재하는 분들은 ~/.ssh/ 경로에 저장된 pem 파일을 복사해서 현재 컴퓨터에 붙여넣기 해주면 된다.
▶ pem 키 권한변경
chmod 600 ~/.ssh/{pem 파일}
▶ config 파일 생성
config 파일도 이전 컴퓨터에 있던 파일 복붙해봤는데 정상 작동이 안되더라.
새로 파일을 만들어서 똑같이 입력했다.
config 파일을 생성하는데에는 vim을 사용할거다.
vim ~/.ssh/config
▶ config 파일 입력
이전컴퓨터의 config 파일과 똑같이 입력해줬다
Host {접속 시 사용할 명령어}
HostName {EC2 인스턴스 탄력적 IP}
User ubuntu
IdentityFile ~/.ssh/{pem 파일명}
입력 후 :wq 명령어를 입력하면 저장 후 종료된다.
근데 :wq 명령어가 듣지 않는다면 아래쪽에 ~insert~ 라고 표시되어있는지 확인해라.
노멀모드로 변경해줘야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esc를 눌러 노멀모드로 돌아온 후 :wq 를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저장 후 종료된다.
▶ config 파일 권한 설정
chmod 700 ~/.ssh/config
설정완료 !
ssh {접속 시 사용할 명령어} //config 파일 Host 속성에 작성한 값
를 통해 EC2 인스턴스에 SSH 를 통해 접속할 수 있게되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3 + CloudFront + Route53으로 정적 파일 HTTPS 배포하기 (0) | 2025.04.21 |
---|---|
[AWS] EC2 서버 메모리 부족 이슈 (0) | 2025.02.05 |
[ SpringBoot & JPA 프로젝트 ] HTTP => HTTPS / AWS 로드밸런서, 타겟그룹, ACM (1) | 2022.10.03 |
[ SpringBoot & JPA 프로젝트 ] AWS S3 이미지 서버 (0) | 2022.09.28 |
[SpringBoot & JPA 프로젝트] AWS EC2 / AWS RDS, IAM (0) | 2022.09.13 |